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
주절주절이야기 3 ( 온실효과와 돌파구 ) 1. 올해 우리나라 학교에서 6~7월에만 사용한 냉방비는 약 300억임 2. 덕분에 학교는 시원했음. 근데 한 여름철도 아닌데 저정도 씀. 3. 전세계 전력량의 10%는 냉방전력으로 쓰일정도임 ㄷㄷ 4.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어 해가 지날수록 냉방에 쓰이는 전력은 늘어갈것으로 보임. 5. 한편 사하라사막에 사는 '사하라 은개미' 는 버틸수 있는 체온한계가 약 54도임. 6. 사하라 대낮 모래위 온도는 최소 60부터시작함;; 걍 개미는 뒤지세요 임. 7. 근데 어떻게 살아있을까? 특수한 형태의 털이 자체적으로 몸을 51도 이하로 냉각시키기 때문임. ??? 머고 8. 정확히는 복사냉각기술이라고 함. 거의 뭐 흑마법임. 9. 이해하기 위해선 지구온난화를 자세히 짚고 가야함. 10. 총균쇠 저자 다이아몬드 성님은..
주절주절 이야기 (핵융합) 1. 몇년 전 캐나다 항공기를 조종하던 비행사가 비행중에 레이저를 맞아 눈에 화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음. 2. 누군가가 지상에서 레이저를 장난삼아 쏘았는데 거기에 맞은거임. 심지어 망막 화상까지 입음. 3. 항공기는 10km 이상 성층권에서 운행하는데 지상에서 출력좋은 레이저는 항공기까지 닿음. 4. 매년 항공기에 장난삼아 레이저를 쏘는 사고가 한해 5천건이 넘음. 렁신나간사람 많음. 5. 레이저는 직진성이 좋고 고출력을 만들기 쉬워 금속을 절단하는 산업용으로도 쓰임. 6. 미국에서는 이 레이저를 가지고 핵융합에 최근 성공했음. 7. 정확히는 2천년대 초반에 연구소에서 레이저 핵융합을 성공했으나 '점화'에는 도달하지 못했음. 8. 여기서 '점화'란 투자한 에너지 대비 본전이상을 뽑는 걸 의미함. 9. ..
주절주절 이야기 1. 문명이라는 게임이 있음. 대학교때 동기들이 죽치고 하는걸 봄. 2. civilaziton 현재 버전 몇까지나온진 모르겠음. 아마 6 3. 가상의 한민족을 통치해 구석기부터 운영하는 게임임. 4. 거기서 핵심적인 발명 중 하나가 '철도'임 5. 특히 산업화, 현대화가 가속되는 시점에서는 새로운 운송수단의 출현이 시발점이 됨. 6. 미국 역사는 철도와 땔래야 땔 수가 없음. 7. 미국도 철도를 깔던 시절이 있었음. 8. 흔히 줏어 들어본 '남북'전쟁, '서부'개척시대 이게 다 철도연결이 되어 가능했던 거였음. 말타고가면 개오래걸림. 9. 미국이라는 나라는 잘 알다시피 땅떵이가 어마어마함. 10. 1800년대 철도를 까는 와중 새로운 문제가 발생함. 11. 잠시 조선시대 앙부일구 꺼냄. 12. 앙부일구는..
지능형 물리실험 연수 후기 (스마트카트, 무선센서 활용, 선배와 만남) 1. 요즘 과학교육에서는 지능형이라는 단어를 밀고있음 2. 지능형의 의미는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무선의, 양방향 소통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무선의, 3. 그런 기기와 자재가 사용된 무언가 라고 보면됨. 4. 그래서 MBL 실험이 주로 지능형 수업에 알맞음. 5. 한 과학고에서 실시하는 실험연수에 다녀옴. 6. 강사님이 힙했음. 친절함. 7. 초반엔 파스코사의 스마트카트를 사용법에 대해 배움. 8. 스파크 뷰라는 앱을 통해 카트의 위치, 속도, 가속도, 받는 힘등을 실시간으로 측정가능함. 9. 대충 이런식으로 찍히는 건데 생각보다 카트를 움직여서 등가속 그래프 찍히게 하는게 어려움. 10. 등속, 등가속운동이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잘모르는 경우가 있음. 11. 이럴때 실제 카트를 굴려보면서 배울 수 있다..
맨하탄 프로젝트 요약 2편 64. 미군이 소이탄을 쓴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음. 65. 당시 대부분의 일본 가옥이 목조였기에 소이탄이 제일 효과적이였음. 66. 대략 1km평방미터당 1톤의 소이탄을 투하했기에 불지옥이 상당했음. 67. 생각보다 대부분의 사망자는 화재보다 질식사가 많았음. 68. 화재의 규모가 커 주변의 산소가 모두 고갈되었기 때문임. 69. 그리고 GG를 치지 않은 이유가 있음. 70. 일본은 옥쇄라는 말이 있음. 71. 직역하면 옥처럼 부서진다는 뜻임. 72. 의역하면 명예롭게 깨끗이 죽자는 말임. 73. 영화같은데 보면 멋있는척 할복하는 이유임. 74. 사무라이정신을 업그레이드 시켜서 '1억 총옥쇄'라는 최종판을 만들어서 선전함. 75. 천황을 위해 일본의 1억인구가 개죽음을 당하는게 아닌 옥처럼 부서진다라고 선..
맨하탄 프로젝트 요약 1편 학기말 다큐를 시청하며 맨하탄 프로젝트를 둘러싼 서사를 듣는데 무척 흥미로워 남긴다. 1. 미국 동부 뉴욕 한가운데 오리지널 찐 뉴요커들 사는 동네가 맨해튼이다. 타임스퀘어가 있는 그런 번화가 st 2. 우리나라로 치면 내기준 서울시 강남구라고 할수 있다. 면적은 맨해튼이 더큼 3. 여튼 이런 번화가 어느 빌딩 사무실에서 맨해튼 프로젝트가 시작됨. 4. 맨해튼 프로젝트는 실체는 '핵폭탄 빨리 만들기 작전'임 허나 보안을 위해 대장동 사업 같은 애매도스한 이름으로 지음. 5. 맨해튼 프로젝트가 실행된 배경은 일본이 아닌 독일 때문임. 6. 잠시 배경을 설명하자면 독일은 유럽 중앙부에 위치해있음 7. 독일은 1900년대 초반 1차세계대전 당시 가운데 있다보니 왼쪽 오른쪽에서 다구리를 맞아 상당히 피로감을 느..
4월부터 증가하는 학급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적 경험 며칠 전 학교에 한 2~3주 연속 야근이 잦았다. 이유는 각종 선도위원회 업무와 학교폭력 조사업무 때문이였다. 아이들이 사고를 쳤다는 이야기이다. 지금은 4월 중순. 제일 학교가 심란한 시기이다. 학생도 교사도 나는 담임을 맡아본지 3년이 넘었다. 학생부에만 있다보니 담임업무에 대해 많이 까먹기도 했지만 교사들이 담임을 기피하게되는 기억만 남아있다. 그래서 지금 또 담임을 하라고 한다면 어질어질하다. 기억을 더듬어 보면 3월은 아마 비담임에게는 아무 느낌없는 달이고 담임을 맡은 교사에게는 가장 바쁜 달이라고 단언한다. 단순하게는 학년 초 몰려오는 제출해야할 공문부터 시작해 가정통신문 및 어떤 설문, 갖가지 출결 같은 짜잘하지만 가짓 수가 많은 종이서류를 수합하는 일. 일반 부서보다 더 끈끈한 관계를 맺어..
학교 동아리 시간 안개상자 실험 기록 올해에도 물리동아리를 맡았다. 솔직히 너무하기 싫엇~~ 전공인데 실험에 자신없고 무언가 항상 동아리는 뒷전이라 관심이 안간다. 귀찮고 교과랑 업무하기 바쁨 ;; 핑계를 나열하자면 아주많음 장비가 부족하다던지~~ 기구를 내가 앞장서서 다사야한다던지 그런 불편함??? 이번에는 학기초 열정빨로 애들한테 다시 해보고 싶은 실험을 받았는데 안개상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다른 실험은 솔직히 너무 귀찮아보였는데 이건 나도 전부터 좀 관찰해보고 싶었던 것이기도 하고 해서 관련 영상을 여러개 찾아봤다. 여러가지 있었지만 시행착오 거치는 과정이 잘 담겨 있어서 이사람 유튜브보고 준비를 최소화 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방사선에 대해 안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 궤적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이다. . . . . 계속계속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