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기록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능형 물리실험 연수 후기 (스마트카트, 무선센서 활용, 선배와 만남) 1. 요즘 과학교육에서는 지능형이라는 단어를 밀고있음 2. 지능형의 의미는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무선의, 양방향 소통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무선의, 3. 그런 기기와 자재가 사용된 무언가 라고 보면됨. 4. 그래서 MBL 실험이 주로 지능형 수업에 알맞음. 5. 한 과학고에서 실시하는 실험연수에 다녀옴. 6. 강사님이 힙했음. 친절함. 7. 초반엔 파스코사의 스마트카트를 사용법에 대해 배움. 8. 스파크 뷰라는 앱을 통해 카트의 위치, 속도, 가속도, 받는 힘등을 실시간으로 측정가능함. 9. 대충 이런식으로 찍히는 건데 생각보다 카트를 움직여서 등가속 그래프 찍히게 하는게 어려움. 10. 등속, 등가속운동이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잘모르는 경우가 있음. 11. 이럴때 실제 카트를 굴려보면서 배울 수 있다.. 학교 동아리 시간 안개상자 실험 기록 올해에도 물리동아리를 맡았다. 솔직히 너무하기 싫엇~~ 전공인데 실험에 자신없고 무언가 항상 동아리는 뒷전이라 관심이 안간다. 귀찮고 교과랑 업무하기 바쁨 ;; 핑계를 나열하자면 아주많음 장비가 부족하다던지~~ 기구를 내가 앞장서서 다사야한다던지 그런 불편함??? 이번에는 학기초 열정빨로 애들한테 다시 해보고 싶은 실험을 받았는데 안개상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다른 실험은 솔직히 너무 귀찮아보였는데 이건 나도 전부터 좀 관찰해보고 싶었던 것이기도 하고 해서 관련 영상을 여러개 찾아봤다. 여러가지 있었지만 시행착오 거치는 과정이 잘 담겨 있어서 이사람 유튜브보고 준비를 최소화 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방사선에 대해 안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 궤적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이다. . . . . 계속계속 검색.. 판의 경계 지형 관련 수업 기록 요즘 날이 더워서 그런지 아이들이 심란하다. 나도 심란해서 글을 못썻다. 실제 수업은 3월 말경 진행했음. 저번에 판의 경계 지형 관련해서 수업하는데 나도 수렴형, 발산형경계까진 아는데 실제 그 지형이 뭐가 있는지 어떻게 어디에 있는지 궁금하던차에 수업을 기획하게됨 구글어스를 이용해 판의 경계 실제 지형을 찾아보고 생김새라도 찾아보면서 익힐겸 .. 일단 애들이 좋아하니깐 ^^ 물론 내가제일 편함. 구글어스를 조금만 둘러보면 어느정도 3D 지형 조작법이라던지 스트릿뷰로 막 돌아다닐 수 있다. 아이들에게 먼저 5분정도 구글어스를 쓰면서 조작해보게 했다. 금방한다. 한번씩 추임새로 너네 지금 사는곳 찾아봐~ 하던지 어디 유명한곳 만리장성, 에펠탑 찾아서 손들어 했음. 그다음 내가 몇개 지형을 미리 찾아본다음 .. 통합과학 _ 2_2. 물의 순환 파트 날먹기록 지구시스템 진행하다 보면 에너지와 물질의 순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런 무지막지한 지구과학적인 그림 설명하기 귀찮고 암기하게 하는게 싫었다. 그래서 기상현상은 기권과 수권의 상호작용이다 어쩌고.. 물이 태양에너지에 의해 순환하는 과정 중 생긴다. 좀 인트로를 해준 뒤 4물궁2 한번 틀어준다. 약 3분 소요.... 애들 : 쌤 이제 뭐해요? . . 가위랑 풀 가져가라 외국 사이트에 탑재된 귀한 날먹용 물의순환 모형 전개도이다. 이거 오늘 만들꺼야~~ 급조한 한장짜리 학습지를 같이 주며 만들어보라고 안내한다. 오리기 귀찮아요 ㅡㅡ 여기저기 탄식이 나옴. 하지만 1학년이라 학기초라 궁시렁하며 결국 집중함 ㅎ 니꺼 못생겼어 내꺼 이뻐 자랑을 앞다투어 함 사실 수업마무리하면서 물의 순환 물어보면 대답 하나도.. 통합과학 _ 2_2. 지구시스템의 구성요소 수업 기록 지구시스템의 단원은 가르칠게 참 없다. 전공이 아닌건 둘째치고 지권,수권 이런이야기만 가득하기 때문.. 내스타일이 아님. 그래서 활동형의 수업이 좀 진행하기에 괜찮은것 같다. 우리학교는 실험실에 방치된 32대의 크롬북이 있기에 거기서 진행함. 요즘 패드가 많이 가지고있어서 패드나 핸드폰으로 진행해도 무리없을듯. 수업 방향은 지구의 구성요소에 대해 단어들을 쓰고 그것을 보고서에 분류하는 활동이다. 1. 멘티미터라고 해서 학생들이 단어를 제출하고 그것을 실시간으로 같이 볼 수 있다. 2. PPT와 학습지를 이용해 멘티미터에 접속하도록 유도하였다. 그렇게 어렵지않아 학생들이 잘 따라옴. 3. 접속하면 이런화면이 뜨고 학생들이 단어를 제출하도록 유도한다. 근데 대부분 배운게 지권,수권,기권 이런것뿐이라 거의다 .. 이전 1 다음